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난 8월 29일 정부가 발표한 2024년 예산안 중 저출산 5대 핵심과제인 돌봄·교육, 일·육아 병행, 주거, 양육비용 부담 경감, 건강 등의 문제를 신규·보완한 정책에 대한 예산안을 15조 4천억을 추가로 투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로  지금보다 금전적인 혜택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기회이니 최대 200만 원까지 받아 가시길 바랍니다.

 

 

 

 

 

 

 

출산 혜택 1. 부모급여

부모급여

2024년  신설되는 부모급여 지급액
대상 연령 2023년 2024년 이후
만0세(가정양육) 월 70만원 월 100만원
만0세(어린이집 이용) 바우처 514,000원 제외
현금 186,000원 지급
보육료 감액 후
나머지 현금 지급
만 1세(가정양육) 월 35만원 월 50만원
만1세(어린이집 이용) 바우처 514,000원
(현급 지급 없음)
보육료 감액 후 
나머지 현금 지급
  • 출생일 포함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속한 달부터 소급 지원
  • 생후 60일이 지난 이후 신청하면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지원   
  •  기존의 영아수당은 부모급여로 통폐합되어  부모급여를 받을 경우 영아수당(양육수당)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   신청방법: 출생일 60일 이내 주민센터 방문 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복지로, 정부 24)

 

출산혜택 2. 아동수당

 

  • 대한민국 국적인 0 ~ 95개월 아이들에게 모두 10만 원씩  현금 지원(2023년도와 동일)
  • 부모급여와 중복 수급 가능
  • 신청빙법: 주민센터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복자로, 정부 24)

 

출산혜택 3. 양육수당   

양육수당

2023년 아동 연령에 따른 양육 수당
개월 수  양육수당
0 ~11개월 20만원
12 ~23개월 15만원
24 ~86개월 10만원
  • 24 ~ 86(만 7세)개월 미만 아동 중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등 기관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하는 경우 월 10만 원 지원(농어촌/장애아동 가정 최대 20만 원 지원)
  • 부모급여 중복 수급 불가
  • 신청 방법: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복지로, 정부 24)

 

출산혜택 4. 부모 육아 휴직

육아 휴직

육아 휴직 기간이 2023년 1년에서 2024년 1년 6개월 연장되었습니다. 통산 임금도 80%에서 100% 지급되며, 기간은 최대 3개월에서 6개월로 변경되었습니다.

 

2024년 육아 휴직  2023년 2024년
기간 최대1년 최대 1년 6개월
통상 임금 최대 300 만원(3+3개월) 최대 450민원(6+6개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8세이하, 최대24개월
주 5시간 내 100%급여 지원
12세 이히, 최대 36개월
부 10시간 내 100%급여지원
업무 분담 지원금
(육아기 단축근로자 동료)
신규 업무 분담시 
월 20만원 지원

 

출산혜택 5. 주거안정

주거 안정

저출산 경제적 요인 중 1위 주거요인이 60%을 뽑았으며, 주거 안정을 위해 신생아 특별공급, 우선배정 항목이 신설 되었습

니다.

 

출산가구 저이 윤자지원 소득 요건 대폭 완화(1.3억 이하) 출산가구 특별 송급
년도 주택 구입 전세자금
2023년 주택가격 6얼 이하, 4억한도 보증금 4억이하, 3억한도 신규
2024년 주택가격 9얻이하, 5억한도 보증금 5억 이하., 3억한도 분양 특별공급
임대 우선 배정 신설

출산혜택 6. 보육 인프라

보육 인프라

영아반 인센티브를 신설하여 어린이집 경영부담을 덜고,  이로 인한 안정적 보육 환경을 조성합니다

 

년도 0~2세반
어린이집 지원
어린이 휴일(~최소 18시간)
야간(~최소 24시간 진료
2023년 등록이름 기준 지원 신규 신규
2024년 정원 미달 시에도 정원 기준 지원
(단 현원50% 아상)
24시간 소아전문
상담센터(5개소) 의료 상담 
달빛 어린이 병원(45개소)

 

출산 지원금 1. 첫 만남 이용권

첫만남 이용권

  • 출생아 1명 당 200만 원 바우처를 국민행복 카드 지급
  • 쌍둥이는 400만 원  바우처를 국민행복카드 지급
  • 바우처는 지역화폐가 아닌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지급(거주 지역 관계없이 조리원 결제,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육아 용품 결제 가능)
  • 생후 1년 동안 사용가능
  • 신청방법 : 출생 후 1년 이내 신청 (거주지 행정 복지센터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출산 지원금 2. 임신 바우처

임신 바우처

  • 단태아 100만 원, 다태아 140만 원 지원
  • 카드 받고 분만 예정일부터 2년 사용가능
  • 임산부와 아이 병원 진료비 및 약재 비용
  • 신청방법 :온라인 또는 전화로 국민행복카드 발급받은 후 바우처를 신청

 

그 밖의 기타 혜택 들

출산 가정 전기세 감면 혜택, 취약가구, 기저귀 바우처 등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2024년 출산 혜택과 출산 지원금 알아보았습니다.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들이 많으니  복지로 홈페이지나 정부 24(원스톱 서비스) 이용하여 혜택 챙겨 보시길 바랍니다 2세 계획을 가지고 계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